국민장난감_거실 Archival pigment print, 29.7x21cm, 2020

<국민장난감>은 출산 후 예상과 다르게 흘러가는 육아와 코로나19를 경험하면서 깨달은 보통의 생활과 보편적으로 사용하는 육아 물건들의 의미에 대해 생각해보면서 진행한 작업이다.
아이가 태어난 지 어느덧 1년이 다 되어 간다. 아이도 잘 키워내고, 내 삶과 일도 균형 있게 잘 유지하는 그런 슈퍼맘이 되고 싶었다. 노력하면 그렇게 될 줄 알았지만, 요즘 머릿속을 가득 채운 관심사는 대부분이 아이와 관련된 것들이다. 아이에게 맞춰진 하루는 많은 부분을 내려놓게 했다. 육아를 시작하면서 점점 채워지는 아이의 물건들로 인해 버려지는 내 물건들을 보니, 앞으로의 내 삶이 그려지는 것 같다.
출산 후 육아로 집안에 고립된 생활만 하다가 아이가 성장하여 함께 외출도 할 수 있게 되었을 때, 코로나19가 확산되면서 다시 집안에만 있게 되었다. 아이가 인지 능력이 생기면서부터 넓은 세상을 직접 보고 느끼며 자랄 수 있도록 해주고 싶었는데, 실제 세상은 보지도 못 하고 그림으로만 만나는 것이 안타까웠다. 2019년생인 아이는 태어나면서부터 대부분의 생활을 집안에서만 하게 되어, 인지 발달에 지장이 생길까봐 다양한 자극을 주려고 노력한다. 책에서 만난 동물들은 인형을 구해 보여주고, 발달 단계에 맞는 놀이를 알아보고 함께 놀아주며 지내고 있다. 아이는 잠시 외출만으로도 충분히 만날 수 있는 개와 고양이부터 동물원에서 볼 수 있는 사자, 호랑이, 코끼리 등을 인형으로 인식하고, 해, 달, 별은 장난감에 그려진 그림으로 알고 있다. 외출할 일이 없으니 실제 현관문을 열고 나가면서 인사하는 것 보다 장난감 문을 여닫으며 인사하는 것이 더 익숙하다. 하루의 대부분을 작은 장난감 세상에서 놀다 먹고 잠들기를 반복하지만 아이는 즐거워 보였다.
장난감이 아닌 몸으로 놀아주겠다는 초보맘의 거창한 계획으로 창고에 방치되어 있던 물려받은 장난감들을 집콕생활이 길어지면서 꺼내 보게 되었다. 의미도 모르던 장난감들은 시기별 육아 필수품으로 불리며 인터넷 속 여러 엄마들의 후기로 입소문이 난 것들이었다. 아이와 놀아보니 신기하고 재미있는 것들이 많았다. 매일 비슷하게 반복되는 놀이에도 질리거나 지치지 않는 아이와 함께하니, 장난감만 보아도 아이의 웃음소리가 나는 것 같다. 그렇지만 아이가 작은 장난감 세상을 넘어, 더 넓은 실제 세상을 자유롭게 탐색할 수 있는 날이 얼른 오길 바란다.
↓  English Artist Statement Below.

국민장난감_북 Archival pigment print, 50x70cm, 2020

국민장난감_걸음마보조기 Archival pigment print, 50x70cm, 2020

국민장난감_버스 Archival pigment print, 50x70cm, 2020

국민장난감_아기 체육관 Archival pigment print, 50x70cm, 2020

국민장난감_러닝테이블 Archival pigment print, 50x70cm, 2020

국민장난감_문짝 Archival pigment print, 50x70cm, 2020

국민장난감_에듀볼 Archival pigment print, 50x70cm, 2020

국민장난감_컵 쌓기 Archival pigment print, 50x70cm, 2020

국민장난감_점프루 Archival pigment print, 50x70cm, 2020

국민장난감_모빌 Archival pigment print, 50x70cm, 2020

국민장난감_거실 Archival pigment print, 29.7x21cm, 2020

국민장난감_거실 Archival pigment print, 29.7x21cm, 2020

국민장난감_거실 Archival pigment print, 29.7x21cm, 2020

국민장난감_베란다 Archival pigment print, 29.7x21cm, 2020

<국민장난감> 전시 전경_30일간의 거실 기록과 베란다 풍경, 2020

<국민장난감> 전시 전경, 2020

국민장난감_엄마들의 집콕육아 사진 슬라이드 영상, 1분 36초, 2020

Artist Statement
<Mother's Favorite Toys> is a project born out of my experience navigating motherhood and the COVID-19 pandemic—two forces that unfolded quite differently from what I had expected. As I cared for my child and adjusted to a new rhythm of life, I began to reflect on the ordinary objects of childcare and the meaning they hold in our everyday routines.
It’s been nearly a year since my child was born. I had hoped to become a “super mom”—someone who could raise a child well while maintaining a balanced personal and professional life. I believed that with effort, it would be possible. But these days, my mind is filled almost entirely with thoughts about my child. A day shaped around my child has led me to set aside many parts of myself. Watching my belongings gradually replaced by toys and baby gear, I caught a glimpse of the shape my life was taking.
After being confined indoors with a newborn, I finally reached a point where I could go outside again—only to be locked down once more as the pandemic surged. I longed for my child to experience the world firsthand, to see and feel it in all its vastness, but instead, the world had to be introduced through pictures. Born in 2019, my child has spent most of their life at home. Worried that this might hinder cognitive development, I try to provide as many stimuli as I can—bringing to life animals from books with plush toys, learning about age-appropriate play, and staying actively involved in my child’s growth. My child now recognizes dogs and cats, which we could easily see just by stepping outside, as well as lions, tigers, and elephants—through toys. The sun, moon, and stars are known only as illustrations on plastic. With no real outings, opening and closing toy doors has become more familiar than saying goodbye at an actual front door. Though most days are spent eating, playing, and sleeping in a tiny world of toys, my child seems joyful.
At first, I thought I wouldn’t rely on toys and planned to engage my child with my own body and attention. But as time indoors stretched on, I began opening storage boxes of hand-me-down toys. Many of them were unfamiliar to me, but they were all praised online as “essential” for each stage of development. Playing with them together, I found them surprisingly delightful. The repetitive games never seem to bore or tire my child—and just seeing a toy now seems to carry the sound of their laughter.
Still, I look forward to the day when my child can step beyond this miniature world and explore the real one with freedom.

Back to Top